Props
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.
<Child value="value" /> => value가 하나의 props가 된다.
사용예제
부모)
import React, {Component} from 'react';
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{
render(){
return(
<div>
안녕하세요! 제 이름은 <b>{this.props.name}</b>입니다.
</div>
);
}
}
export default MyName;
자식)
import React, { Component } from 'react';
import MyName from './MyName';
class App extends Component {
render() {
return (
<MyName name="센닝"/>
);
}
}
export default App;
Default Props 값 설정 )
1)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
import React, {Component} from 'react';
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{
static defaultProps = {
name: '세니야'
}
render(){
return(
<div>
안녕하세요! 제 이름은 <b>{this.props.name}</b>입니다.
</div>
);
}
}
export default MyName;
2)
import React, {Component} from 'react';
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{
render(){
return(
<div>
안녕하세요! 제 이름은 <b>{this.props.name}</b>입니다.
</div>
);
}
}
MyName.defaultProps = {
name: 'seniii'
};
export default MyName;
함수형 컴포넌트)
import React from 'react';
const MyName = ({name}) => {
return(
<div>
안녕하십니까 이곳은 {name} 블로그 입니다.
</div>
)
}
MyName.defaultProps={
name:'senii'
}
export default MyName;
함수형 컴포넌트가 초기 마운트 속도가 미세하게 더 빠르고 불필요한 기능이 없어서 메모리 자원도 덜 사용한다.
보여주기만 하는 용도에서 속도 최적화 가능
*이 글은 누구든지 하는 리액트: 초심자를 위한 react 핵심 강좌를 토대로 공부를 하며 작성하였습니다.
'Study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리액트 기초부터(6) (0) | 2022.06.20 |
---|---|
[React] 리액트 기초부터(5) (0) | 2022.06.14 |
[React] 리액트 기초부터(3) (0) | 2022.06.09 |
[React] 리액트 기초부터(2) (0) | 2022.06.09 |
[React] 리액트 기초부터(1) (0) | 2022.06.08 |